컴퓨터 과학/꿀팁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임베디드 리눅스 프로그래밍 완전정복 : CH 1 이 글은 임베디드 리눅스 프로그래밍 완전정복(저자 : 크리스 시먼즈, 출판 : 에이콘출판)을 학습하면서 정리하기 위해 작성하는 글로, 다소 두서가 없어도 이해해 주기를 바란다. 이전에는 임베디드 기기에 운영체제가 이식되는 일이 많지 않았었다. 메모리 부족, 전력 소모 최소화 등 여러 이유로 복잡하지만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OS를 이식하기 보다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게 프로그램을 직접 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 반도체 소자 가격 인하, 집적도 향상, 제공 기능의 다양화 등 여러 이유로 보다 개발자의 입장에서 OS를 임베디드 기기에 탑재하는 것이 매력적으로 다가오게 되었다. 무어의 법칙(Moore's Law) : 약 2 년마다 최소한의 비용 증가로 반도체 집적회로에 집적할 수 있는 트렌.. 23년 8월 22일 : MakeFile 최근 리눅스 상에서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Makefile을 이용하여 C 내지는 C++ 소스 코드를 실행 파일로 변환시켜야 하는 일들이 많아졌다. 생각난 김에 한 번쯤은 Makefile에 대해서 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이 글을 쓰게 되었다. 우선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오직 0과 1 밖에 없다는 것이 출발점이다. 못할 것은 없지만 사람이 0과 1만을 가지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힘든 일일 것이다. 그렇기에 자연어에 가까운 프로그래밍 언어(C/C++, Java, Python 등)을 사용하여 코드를 짜고, 이를 컴파일러(Compiler)로 기계어로 번역하여 사용하게 된다. 소스 코드를 최종적으로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컴파일(Compile)이라고 한다. 하나의 소스 코드 파일에 .. 간단히 보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Software Design Pattern)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Software Design Pattern)은 소프트웨어 디자인에서 특정 문맥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 도입이 가능한 재사용(Reusable) 가능한 해결책이다. 개발 과정에서 마주치는 대부분의 문제들은 매우 높은 확률로 다른 개발자가 한 번쯤은 겪었을 문제이다. 매 번 똑같은 문제를 가지고 고민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한 일이다.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하나의 문제에 대해서 깊게 고민하여 솔루션을 찾는 것보다는 당장 구글에 들어가서 다른 개발자들이 자신과 같은 문제를 겪은 적이 있는지, 같은 일을 겪었다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는 지 찾아보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고, 더 개발자스러운 자세이기도 하다.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도 같은 맥락이다. 사실 소프트웨어를 구조적으..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