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컴퓨터 과학/네트워크(공부한 것 정리하기)

(7)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CH 1 : 네트워크 시작하기프로토콜 : 네트워크 상의 통신에 필요한 규약 대표적으로 이더넷-TCP/IP 기반 프로토콜이 있음 물리적 측면 : 데이터 전송 매체, 신호 규약, 회선 규격 등 이더넷에서 널리 사용됨 논리적 측면 : 장치 간 통신을 위한 규격, TCP/IP가 대표적 유래는 초기 느린 네트워크 속도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통신하는 것, 비트 기반 > 문자 기반 TCP/IP를 묶어서 프로토콜 스택이라 부름(별개의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이지만, 워낙 하나로 묶여서 사용되어서...)그외에도 UDP, ICMP, ARP, HTTP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프로토콜이 있음 이더넷(물리) - 네트워크 계층(IP, 목적지 탐색) - 전송 계층(TCP, 잘린 패킷의 조합) - 어..
Wireshark에 대한 내용 정리 Wireshark란?Wireshark : 자유 및 오픈 소스 패킷 분석 프로그램, 크로스 플랫폼이며 Qt base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cpdump와 유사하지만 그래픽 프론트엔드 정렬, 필터링 옵션이 추가된다. 패킷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데이터 조각(스트림(Application) -> Segment(Transport) > Packet(Network) > Frame(DataLink) > Electrical Siganl(0 or 1)), 자세한 내용은 이론적으로 한 번 정리를 할 예정자세한 내용 : https://southern-island.tistory.com/19 [ Network ] TCP/IP 패킷 구조TCP/IP 패킷의 구조패킷의 전체적인 구조.. 좀 복..
네트워크 공부 5 일차 네트워크 공부 5 일차, 뜨문 뜨문 공부해서 그런지 솔직히 오늘 공부한 내용이 잘 이해가 가지는 않았다. 책이 진짜로 한 권은 필요할 것 같다. 내용들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는데, 대략적으로만 이해하다 보니 기초가 부실해 학습이 지연되는 듯한 느낌이 든다. 동영상으로는 공부하는 건 확실히 한계가 있는 것 같다. 어쨌든 오늘 배운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TCP 연결 : TCP에서의 연결은 무엇인가? 우선 앞서서 연결의 근거는 무엇인가? 예를 들어 A가 B를 부른다고 하였을 때 우연히 B를 부르는 소리를 들은 C가 대답하였다면 제대로 된 통신이라 보기 어렵다. TCP는 서로 제대로 연결되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3-Way-Handshake 기법을 사용한다. 클라이언트 측에서 순서 번호를 포함한 SY..
네트워크 공부 4 일차 네트워크 공부 4일차, 프록시(Proxy)와 TCP/IP의 작동 원리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언제나 그렇듯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으면 정보를 더 깊게 다룬 문헌들을 참고하라. 이 글은 복습하면서 그냥 끄적이는 글인 만큼, 어떻게 이해했는 지 위주로 적을 것이지,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적는 글이 아님을 미리 밝힌다. 프록시(Proxy) : 간단하게 통신 중 거쳐가는 컴퓨터 시스템 혹은 응용 프로그램 정도로 이해하면 좋다. 강의에서는 시스템으로서의 프록시를 다루기 보다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의 프록시를 다루고 있었다. 일반적인 HTTP 통신을 하는 프로세스의 동작 원리가 그대로 적용된다. 프록시 프로세스가 동작을 하게되면 소켓-TCP/IP-드라이버-NIC로 연결되는 통로가 열리고 이 통로로 정보가 오고가고 한다..
네트워크 공부 3 일차 네트워크 공부 3 일차이다. 공부는 꾸준하게 하는 것이 좋은 데, 계속 띄엄띄엄하게 되는 것 같다. 전반적으로 배운 것에 대해서 주저리 주저리 정리해보고자 한다. 다시 언급하지만 "이 사람은 이렇게 이해했구나!!" 정도 수준으로 보고, 더 깊은 학습을 원하면 위키피디아(생각보다 위키피디아는 훌륭한 정보의 원천이다!!) 등 좀 더 자세하고 정확하게 주제를 다룬 글들을 참고하기를 바란다. 나도 이 정도 수준으로 공부하는 것이 적당하다고는 생각이 들지는 않다. 한 번 지금 배우고 있는 코스가 끝나면 배운 것들을 복습하면서, 보다 심화된 학습을 할 계획이다. LAN과 WAN의 차이 : 이건 강의자의 개인적인 생각이 들어가 있었다. Local 과 Wide 딱 앞의 약자만 달라서 지리적인 넓이의 차이가 있다 생각하..
네트워크 공부 2일차 네트워크 공부 2 일차이다. 웹에 대한 전반적인 그림을 배웠다. 가볍게만 훓고 지나갈 예정이고, 1 일차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이런 게 있고 이 사람은 이렇게 이해했구나!" 정도만으로 보고 더 깊게 이해하고 싶으면 좀 더 전문적인 문헌을 찾아보기를 바란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선택 : 예를 들어보자. 대부분의 노트북이 무선 네트워크와 이더넷을 모두 지원한다. 그렇다면 2개의 인터넷을 지원하는 상황에서 프로세스는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프로세스는 하나의 포트만을 독점할 수 있고, 하나의 IP만을 선택할 수 있다. 복수의 IP가 있는 상황에서 컴퓨터는 IP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자세하게 내가 배우고 있는 영상에서는 다루지는 않지만 해당 주소에 연결함에 있어서 치루게 될 비용이 가장 적은 것을..
네트워크 공부 1 일차 최근 웹 관련해서 이것저것 기웃기웃 거리고 있어서, HTTP를 포함한 네트워크 전반에 대해서 공부를 시작하기로 마음먹었다. 공부한 것 중 하나를 주제로 각잡고 글을 쓰는 것도 괜찮지만,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들어서 그냥 간단하게 공부한 것을 정리하는 용도로 그냥 일기처럼 쓰기로 하였다. 용어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기술하기 보다는 어떻게 내가 이 개념을 이해하였는 가를 중점에 두고 글을 쓸려고 한다. 만약 참고할 사람이 있다면 "아 이런 식으로 이 사람은 이 개념을 대해 이해했구나" 정도만 참고하고 해당 개념을 깊게 분석한 글로 넘어갈 것을 추천한다. 지금 내가 공부하고 있는 코스 : 네트워크 기초(유튜브 : 널널한 개발자 TV) : 깊은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이런 개념이 있고 나는 어떻게 이 개념을 받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