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라즈베리파이 4 세팅
1) 라즈베리 공식 사이트에 들어가서 installer 다운로드
2) PC에 SD 카드를 연결한 후, installer 관리자 모드로 실행
3) 라즈베리파이 모델에 맞추어 OS 선택(라즈베리파이4-64bit-SD 카드)
4) 필요한 경우 OS 상세 설정
5) SD 카드에 OS 마운트 후 라즈베리 파이에 연결하여 확인(키보드, 마우스 , 모니터 연결 필요)
6)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있음(그래야지 나중에 원격으로 연결 가능), ip 주소 확인
7) sudo raspi-config 터미널에 입력 후, interface option -> ssh enable할 것(필수!)
8) ssh 등 본 PC의 쉘을 이용하여 접속하면 ok
VI 에디터 사용법 => 직접 사용해보는 편이 좋음
1. Vim 에디터 개요
vim은 Vi Improved의 약자로, Vi를 기반으로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는 텍스트 에디터입니다. 주로 리눅스/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며, 키보드만으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 기반 편집기입니다.
2. Vim의 주요 모드 (3가지)
모드 이름설명진입 방법
입력 모드 (Insert Mode) | 텍스트 입력 모드 | i, I, a, A, o, O 등 |
명령행 모드 (Command-Line Mode) | 저장, 종료, 검색 등 수행 | : 입력 시 진입 |
명령 모드 (Normal Mode) | 기본 상태, 명령을 입력하는 모드 | vim 실행 직후 기본 모드 |
3. 기본 명령어
(1) Vim 실행 및 종료
vim 파일명 | 파일 열기 또는 새로 만들기 |
:q | 저장 없이 종료 |
:q! | 변경 사항 무시하고 강제 종료 |
:w | 저장 |
:wq 또는 :x | 저장 후 종료 |
ZZ | 저장 후 종료 (명령 모드에서) |
(2) 입력 모드 전환
i | 현재 커서 앞에 입력 시작 |
I | 현재 줄 맨 앞에서 입력 시작 |
a | 현재 커서 뒤에서 입력 시작 |
A | 현재 줄 맨 뒤에서 입력 시작 |
o | 현재 줄 아래에 새 줄 삽입 |
O | 현재 줄 위에 새 줄 삽입 |
Esc | 명령 모드로 돌아가기 |
(3) 이동 명령 (명령 모드)
h, l | 좌우 이동 |
j, k | 아래, 위 이동 |
w, b | 단어 단위 앞으로/뒤로 이동 |
0, ^ | 줄 맨 앞, 첫 단어로 이동 |
$ | 줄 맨 끝으로 이동 |
gg, G | 파일 처음, 파일 끝으로 이동 |
:n | n번째 줄로 이동 (:10 → 10행) |
(4) 편집 명령 (명령 모드)
x | 현재 커서 문자 삭제 |
dd | 한 줄 삭제 |
yy | 한 줄 복사 |
p | 붙여넣기 (커서 아래/뒤에 삽입) |
u | 실행 취소 |
Ctrl + r | 실행 취소 복원 |
r<문자> | 해당 위치의 문자 교체 |
cw | 단어 변경 (단어 삭제 후 입력 모드) |
(5) 검색 및 치환 (명령행 모드)
/단어 | 단어 검색 (아래 방향) |
?단어 | 단어 검색 (위 방향) |
n, N | 다음/이전 검색 결과로 이동 |
:%s/old/new/g | 파일 전체에서 문자열 치환 |
:s/old/new/g | 현재 줄에서 문자열 치환 |
(6) 시각적 선택 (Visual Mode)
v | 문자 단위 선택 시작 |
V | 줄 단위 선택 시작 |
Ctrl + v | 블록 단위 선택 (비주얼 블록 모드) |
y | 선택 영역 복사 |
d | 선택 영역 삭제 |
p | 선택 영역 붙여넣기 |
4. 설정 관련 명령 (선택적)
:set number | 줄 번호 표시 |
:set nonumber | 줄 번호 숨기기 |
:syntax on | 문법 강조 표시 활성화 |
:set tabstop=4 | 탭 크기 설정 (공백 4칸) |
5. 종료 전 요약
- vim은 모드 기반 텍스트 편집기이며 모드 전환과 명령 입력이 핵심입니다.
- 자주 사용하는 명령은 i, Esc, :wq, dd, yy, p, /, n, u 등입니다.
- 초보자는 입력 모드 전환 ↔ 명령 모드 전환(Esc) 을 잘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rom chatgpt
process -> system call -> OS -> resources(file, device, etc)
반응형
'VEDA 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VEDA 35일차 - 임베디드 리눅스 프로그래밍 (1) | 2025.05.02 |
---|---|
VEDA 교과평가2 준비(리눅스, Make, CMake, Git etc) (0) | 2025.05.01 |
VEDA 33일차 - GDB, CMake, Git, Docker (1) | 2025.04.30 |
VEDA 32일차 - 라이브러리 제작+GDB (0) | 2025.04.29 |
VEDA 31일차 - Makefile (2) | 2025.04.28 |